Java
-
StringUtils Java의 String 클래스가 제공하는 문자열 관련 기능을 강화한 클래스이다. 문자열과 관련된 대부분의 처리가 가능하다. 파라미터 값으로 NULL을 주더라도 절대 NullPointException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NULL의 경우 메소드에 따라 적절한 결과를 리턴한다. API 공식문서 http://commons.apache.org/proper/commons-lang/javadocs/api-release/index.html Apache Commons Lang 3.11 API commons.apache.org 보통 String 문자열을 체크하기 위해선 Null 체크, 길이 0 체크, 적절한 값 체크 등 여러가지의 체크를 해야했다. 하지만 StringUtils 클래스를 사용하면 문자..
StringUtilsStringUtils Java의 String 클래스가 제공하는 문자열 관련 기능을 강화한 클래스이다. 문자열과 관련된 대부분의 처리가 가능하다. 파라미터 값으로 NULL을 주더라도 절대 NullPointException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NULL의 경우 메소드에 따라 적절한 결과를 리턴한다. API 공식문서 http://commons.apache.org/proper/commons-lang/javadocs/api-release/index.html Apache Commons Lang 3.11 API commons.apache.org 보통 String 문자열을 체크하기 위해선 Null 체크, 길이 0 체크, 적절한 값 체크 등 여러가지의 체크를 해야했다. 하지만 StringUtils 클래스를 사용하면 문자..
2022.05.13 -
RequestContextHolder Spring 전역으로 Request 에 대한 정보를 가져올 때 사용한다. RequestContextHolder 를 이용해서 Controller, Service, Dao 등 전 구간에서 HttpServletRequest에 접근할 수 있다. RequestContextHolder 가 초기화 되는 시점은 Servlet이 생성될 때이다. 즉, 생성 시기는 Http Request가 오는 시점에 생성 및 초기화 되어지고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 후 서블릿이 Destroy 될 때 Clean 된다. RequestContextHolder는 같은 쓰레드 범위에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새로운 쓰레드를 생성하는 순간 DispatcherServlet의 범위에서 벗어나 서로 다른 서블릿이 ..
RequestContextHolderRequestContextHolder Spring 전역으로 Request 에 대한 정보를 가져올 때 사용한다. RequestContextHolder 를 이용해서 Controller, Service, Dao 등 전 구간에서 HttpServletRequest에 접근할 수 있다. RequestContextHolder 가 초기화 되는 시점은 Servlet이 생성될 때이다. 즉, 생성 시기는 Http Request가 오는 시점에 생성 및 초기화 되어지고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 후 서블릿이 Destroy 될 때 Clean 된다. RequestContextHolder는 같은 쓰레드 범위에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새로운 쓰레드를 생성하는 순간 DispatcherServlet의 범위에서 벗어나 서로 다른 서블릿이 ..
2022.05.11 -
@ConfigurationProperties *.properties, *.yml 파일에 있는 property 및 값들을 자바 클래스로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어노테이션 Spring boot에서 필요한 설정들을 *.properties, *.yml 파일에 써두고 관리한다. - test.properties obo-test.number=010.1111.2222 obo-test.name=obo 위와 같은 properties 파일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아래와 같이 @Valu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바인딩 시킨다. @Value("${obo-test.number}") private String number; @Value("${obo-test.name}") private String name; 위 방법은 직접 ..
@configurationProperties@ConfigurationProperties *.properties, *.yml 파일에 있는 property 및 값들을 자바 클래스로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어노테이션 Spring boot에서 필요한 설정들을 *.properties, *.yml 파일에 써두고 관리한다. - test.properties obo-test.number=010.1111.2222 obo-test.name=obo 위와 같은 properties 파일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아래와 같이 @Valu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바인딩 시킨다. @Value("${obo-test.number}") private String number; @Value("${obo-test.name}") private String name; 위 방법은 직접 ..
2022.05.03 -
HikariCP HikariCP란 Springboot 2.0부터 default로 설정되어 있는 DB Connetcion Pool로써 Zero-Overhead가 특징으로 높은 성능을 자랑하는 DB Connection Pool이다. HikariCP는 미리 정해놓은 만큼의 Connection 객체를 Connection Pool에 담아 놓습니다. 그 후에 요청이 들어올 때 Thread가 Connection을 요청하고 Hikari는 Connection Pool 내에 있는 Connection 객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1. dependency 추가 아래 이미지와 같이 hikari는 spring-boot-starter-jdbc에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spring-boot-hikari에 아래 이미지와 같이 설..
HikariCPHikariCP HikariCP란 Springboot 2.0부터 default로 설정되어 있는 DB Connetcion Pool로써 Zero-Overhead가 특징으로 높은 성능을 자랑하는 DB Connection Pool이다. HikariCP는 미리 정해놓은 만큼의 Connection 객체를 Connection Pool에 담아 놓습니다. 그 후에 요청이 들어올 때 Thread가 Connection을 요청하고 Hikari는 Connection Pool 내에 있는 Connection 객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1. dependency 추가 아래 이미지와 같이 hikari는 spring-boot-starter-jdbc에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spring-boot-hikari에 아래 이미지와 같이 설..
2022.05.03 -
태그를 이용하여 Context 파일에 프로퍼티를 등록하여 Java나 JSP 파일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 RootApplicationContext인 root-context.xml 파일 - root-context.xml // root-context.xml 파일 내 설정 - src/main/resources/context/web.properties // src/main/resources/context/web.properties user.name=obo - Java 파일 내 사용 @Value("#{config['user.name']}") - JSP 파일 내 사용
<util:properties> 태그를 이용한 Context 파일에 프로퍼티 등록태그를 이용하여 Context 파일에 프로퍼티를 등록하여 Java나 JSP 파일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 RootApplicationContext인 root-context.xml 파일 - root-context.xml // root-context.xml 파일 내 설정 - src/main/resources/context/web.properties // src/main/resources/context/web.properties user.name=obo - Java 파일 내 사용 @Value("#{config['user.name']}") - JSP 파일 내 사용
2022.05.02 -
1. 프로젝트 라이브러리 및 의존성 관리를 위한 maven 설정 1-1. maven 설정 파일인 pom.xml 추가 1-2. Finish 버튼 클릭! 1-3. pom.xml 파일 생성 확인 2. Spring mvc 설정을 위한 dependency 추가 2-1. mvc 관련 dependency 추가 org.springframework spring-webmvc 5.2.5.RELEASE 빨간 박스안의 내용만 추가했다. 나머지 내용은 pom.xml 생성시 자동 생성된다. 2-2. 라이브러리 및 의존성 추가를 위한 maven update 2-3. 메이븐 업데이트 프로젝트 확인 후 OK 2-4. 추가된 Maven 라이브러리 확인 아래와 같이 Spring mvc에 필요한 jar 파일이 추가됐다. 3. web.xml ..
Dynamic Web Project 만들기 2 - 프로젝트 기본 설정(1)1. 프로젝트 라이브러리 및 의존성 관리를 위한 maven 설정 1-1. maven 설정 파일인 pom.xml 추가 1-2. Finish 버튼 클릭! 1-3. pom.xml 파일 생성 확인 2. Spring mvc 설정을 위한 dependency 추가 2-1. mvc 관련 dependency 추가 org.springframework spring-webmvc 5.2.5.RELEASE 빨간 박스안의 내용만 추가했다. 나머지 내용은 pom.xml 생성시 자동 생성된다. 2-2. 라이브러리 및 의존성 추가를 위한 maven update 2-3. 메이븐 업데이트 프로젝트 확인 후 OK 2-4. 추가된 Maven 라이브러리 확인 아래와 같이 Spring mvc에 필요한 jar 파일이 추가됐다. 3. web.xml ..
2022.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