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ler
-
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 의 Dispatcher 는 "보내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뜻에 따라 DispatcherServlet 은 HTTP 프로토콜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맨 앞쪽에서 받아 요청에 맞는 적절한 Controller 를 찾아 전달하는 Front Controller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Front Controller 는 서블릿 컨테이너의 제일 앞쪽에서 모든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Controller 로써 MVC 구조에서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위 이미지를 보면서 자세하게 설명을 하게 되면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들어오게 되면 Tomcat 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가 요청을 받게 됩니다.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Filter 를 통해 인증 ..
DispatcherServlet(디스패처 서블릿, Front Controller)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 의 Dispatcher 는 "보내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뜻에 따라 DispatcherServlet 은 HTTP 프로토콜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맨 앞쪽에서 받아 요청에 맞는 적절한 Controller 를 찾아 전달하는 Front Controller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Front Controller 는 서블릿 컨테이너의 제일 앞쪽에서 모든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Controller 로써 MVC 구조에서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위 이미지를 보면서 자세하게 설명을 하게 되면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들어오게 되면 Tomcat 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가 요청을 받게 됩니다.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Filter 를 통해 인증 ..
2023.06.13 -
Spring 에서 컨트롤러를 지정해주기 위한 어노테이션은 @Controller 와 @RestController 가 있습니다.일반적인 Spring MVC의 컨트롤러인 @Controller 와 Restful 방식의 컨트롤러인 @RestController 의주요한 차이점은 HTTP Response Body가 생성되는 방식이다. @Controller 와 @RestController 는 용도의 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옛날에는 jsp 나 html 과 같이 view에 데이터를 담아 전달했기 때문에 @Controller를 사용했다.하지만 최근에는 백엔드와 프론트엔드를 분리하면서 백엔드쪽에선 Rest API를 통해 Json 데이터만 전달하고프론트엔드는 백엔드에서 넘어온 Json 데이터를 화면에 보여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
@Controller, @RestControllerSpring 에서 컨트롤러를 지정해주기 위한 어노테이션은 @Controller 와 @RestController 가 있습니다.일반적인 Spring MVC의 컨트롤러인 @Controller 와 Restful 방식의 컨트롤러인 @RestController 의주요한 차이점은 HTTP Response Body가 생성되는 방식이다. @Controller 와 @RestController 는 용도의 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옛날에는 jsp 나 html 과 같이 view에 데이터를 담아 전달했기 때문에 @Controller를 사용했다.하지만 최근에는 백엔드와 프론트엔드를 분리하면서 백엔드쪽에선 Rest API를 통해 Json 데이터만 전달하고프론트엔드는 백엔드에서 넘어온 Json 데이터를 화면에 보여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
2022.08.09 -
1. /WEB-INF/spring/root-context.xml 파일 설정 Dynamic Web Project 만들기 2 에서 설정한 root-context.xml 파일에 내용을 추가한다. /WEB-INF/spring/root-context.xml 파일에 추가 * context:component-scan => 특정 패키지 안의 클래스들을 스캔하여 Annotation을 확인 후 Spring Bean 으로 등록한다. => @Component,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 component 어노테이션들을 Bean 등록 한다. 2. /WEB-INF/spring/appServlet/dispatcher-servlet.xml 파일에 내용 추가 * handlerMapping => ..
Dynamic Web Project 만들기 4 - 프로젝트 기본 설정(component-scan, handlerMapping, ViewResolver)1. /WEB-INF/spring/root-context.xml 파일 설정 Dynamic Web Project 만들기 2 에서 설정한 root-context.xml 파일에 내용을 추가한다. /WEB-INF/spring/root-context.xml 파일에 추가 * context:component-scan => 특정 패키지 안의 클래스들을 스캔하여 Annotation을 확인 후 Spring Bean 으로 등록한다. => @Component,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 component 어노테이션들을 Bean 등록 한다. 2. /WEB-INF/spring/appServlet/dispatcher-servlet.xml 파일에 내용 추가 * handlerMapping => ..
2022.07.14 -
1. View 페이지 생성 1-1. JSP View 사용을 위한 dependency 추가 pom.xml > " " 태그 사이에 추가 javax.servlet javax.servlet-api 4.0.1 provided javax.servlet.jsp javax.servlet.jsp-api 2.3.3 provided javax.servlet jstl 1.2 1-2. /WEB-INF 폴더 하위에 views 라는 폴더 생성 1-3. /WEB-INF/views/ 하위에 테스트용 test.jsp 파일 생성 views > 마우스 오른쪽 클릭 > new > JSP File > test 입력 후 생성 1-4. 확인을 위해 test.jsp 파일에 데이터 입력하기 2. Package 및 Controller 생성 2-1. P..
Dynamic Web Project 만들기 3 - 프로젝트 기본 설정(JSP, Controller 설정)1. View 페이지 생성 1-1. JSP View 사용을 위한 dependency 추가 pom.xml > " " 태그 사이에 추가 javax.servlet javax.servlet-api 4.0.1 provided javax.servlet.jsp javax.servlet.jsp-api 2.3.3 provided javax.servlet jstl 1.2 1-2. /WEB-INF 폴더 하위에 views 라는 폴더 생성 1-3. /WEB-INF/views/ 하위에 테스트용 test.jsp 파일 생성 views > 마우스 오른쪽 클릭 > new > JSP File > test 입력 후 생성 1-4. 확인을 위해 test.jsp 파일에 데이터 입력하기 2. Package 및 Controller 생성 2-1. P..
202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