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반응형
기타

DNS 레코드

  • -
반응형

A Record

: A Record 는 ip 방식이다.

: DNS에 저장되는 정보의 타입으로 도메인 주소와 IP 주소를 직접 매핑시키는 방법이다.

즉 A 레코드의 해당하는 도메인 주소에 대한 해석을 DNS 서버에 요청하면 IP 주소를 리턴해준다.

예) obo.co.kr | 192.168.200.000

secureone.co.kr 이란 도메인 주소에 대해 해석을 요청하면 192.168.200.000 IP 주소를 리턴해준다.

CNAME 레코드

: CNAME 은 Canonical Name의 약자로 도메인 주소를 또 다른 도메인 주소로 매핑 시키는 형태의 DNS 레코드

: A 레코드는 도메인 주소에 대한 IP 주소를 저장하지만 CNAME 레코드는 도메인 주소에 매핑되는

도메인주소를 설정할수 있다. 도메인 주소에 대한 별명을 짓기 때문에 별명 레코드라고도 한다.

예)

naver.com | 192.168.0.1

obo.co.kr | 172.168.0.1

oboobo.co.kr | obo.co.kr

보통 obo.co.kr 의 도메인에 대한 해석을 DNS서버에 요청했을 경우 172.168.0.1 IP 주소를 리턴해준다.

하지만 oboobo.co.kr 의 도메인을 DNS서버에 요청했을경우 obo.co.kr 을 리턴하고, 사용자는 다시 DNS 서버에 obo.co.kr 도메인 해석을 요청하고 172.168.0.1을 리턴받는다.

txt 레코드

: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문자열로 저장해놓고 소유권, SPF 레코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

SPF(Sender Policy Framework) 레코드

: DNS 레코드 종류중 한개로 메일서버 정보를 사전에 DNS서버로 공개 등록함으로써 수신자로 하여금 이메일에 표시된 발송자 정보와 DNS에 등록된 메일서버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할수 있는 메일 검증기술

 

MX 레코드

메일 서버를 알려주는 레코드이며, 해당 도메인과 연동되어 있는 메일 서버를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레코드이다.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엔드 웹 프레임워크  (0) 2022.03.21
XRDP, VNC  (0) 2021.12.21
대칭키 암호화, 비대칭키(개인키) 암호화  (0) 2021.12.02
인코딩이란(URL, HTML, BASE64, ASCII)  (0) 2021.12.02
심볼릭 링크와 하드링크(Centos 기준)  (1) 2021.12.02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